↗하드디스크 파티션-볼륨확장으로 2개 파티션을 1개로 병합 합치기[윈도우7]
윈도우7에서는 파티션을 나누고 , 즉 1개의 파티션을 2개의 파티션으로 나누는 볼륨확장기능 , 또는2개의 파티션을 1개로 파티션으로 합치는 볼륨축소기능이 있습니다
반면 윈도우 XP에서 그런 기능이 없어서 별도의 파티션 나누거나 병합하는 유틸로 가능합니다
하드에 데이타가 존재해도 안전하게 나눌수 있습니다 손상되지 않고 말이죠
혹시 모를 안전을 위해 확장되는 공간의 데이타를 다른곳에 보관해 두는 것도...ㅎㅎ
왜 1개의 파티션을 2개(이상)로 만들까? 라는 의구심이 생깁니다
이유는 데이타 관리적 측면과 혹시 모를 안전한 데이타 보관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인데
예로 컴퓨터의 하드의 경우엔 통째로 C: 파티션만을 사용하게되면 운영체제 구간과 데이타저장공간이 없기 때문에
윈도우를 재설치(포멧)할 경우엔 데이타 손실우려 방지 , 물론 외장하드에 데이타 보관을 해도 됩니만 !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보다 안전한 방법으로 레이드구성, 미러링 구성을 할 수있는데요
데이타를 깨지는 일을 거의 없게 만들 수도 있으며 반면에 일반사용자가 쓰기엔 미러링된 공간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냥 미러링없이 쓰고 있죠
↗ 윈도우7의 볼륨확장기능과 볼륨확장 마법사
하드디스크(또는 외장하드)를 2개 파티션에서 1개 파티션으로 병합, 합치는 겁니다
외장하드를 파티션 2개로 나누어 쓰다가 G파티션의 여유공간이 부족하여 하나의
파티션으로 만들었습니다
즉 C: 드라이브 달랑 한개인 것을 C: D: .....이런식으로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으로
윈도우7에서는 볼륨확장 기능으로 윈도우 제어판의 관리자도구의 컴퓨터관리 , 디스크관리에서 진행 합니다
아래 디스크1에는 원래 G와 H 파티션을 가지고 있었는데 ...블로그에 포스팅 생각이 나가지고..ㅎㅎ
어쨌든 H파티션(사용자마다 드라이브명이 다를 수있음) 있던 거였는데 할당되지 않음으로 떠있는 거고요
볼륨확장(마우스우측) 을 선택하여 , 다음단계인 볼륨마법사를 거치고 완료가 되면은 G:의 1개의 파티션으로 생성이 됩니다
볼륨확장 마법사
아래의 단계에서는 디스크1의 150G가 null 비어 있다는 의미로 다음을 선택합니다
볼륨확장 마법사 완료
볼륨확장마법사가 완료되면 파티션이 하나로 생성됩니다
괴물큰형님 수정/삭제 답글
그대로 따라 해보았는데 잘 되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 드립니다.
답글: 알송달송IT세상 수정/삭제
잘 되셔서 다행입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얼치기달인 수정/삭제 답글
좋은 정보 감사 드립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답글: 알송달송IT세상 수정/삭제
댓글달아 줘서 저두 감사합니다
노비 수정/삭제 답글
이렇게쉽게되다니!가르쳐주셔서감사합니다.
답글: 알송달송IT세상 수정/삭제
감사합니다 ~
0,0 수정/삭제 답글
하드를 c: d: 2개로 나눠서 c:에 윈도우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이번에 ssd 구입해서 여기에 os 깔려고 생각중입니다.
이전에 나눠서 쓰던 하드는 합쳐버리려고 하는데 윈도우7의 파티션
합치기 기능을 이용할 경우 c:와 d:의 데이타가 있는 상태에서
합쳐도 상관없나요? 아니면 별도 백업받고 데이타 비운 상태에서
합쳐야 하는건가요..데이타 양이 많다보니 백업하기 힘들어서 미리 여쭤봅니다..^^a..
답글: 알송달송IT세상 수정/삭제
http://rdsong.com/179 윈도우7 파티션축소기능이 불안하다면 이유틸사용해 보셔도 됩니다
슈크 수정/삭제 답글
와우~ 상당히 유용한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답글: 알송달송IT세상 수정/삭제
댓글과 방문, 감사합니다
다니엘 수정/삭제 답글
근데.....d에 프로그램 파일이 있었을때, c랑 d랑 합치면, d에 있던 프로그램은 윈도우가 못 찾지 않나요?
답글: 알송달송IT세상 수정/삭제
만약을 대비해,두 파티션을 합치면 데이타 손실방지를 위해 자료를 백업한후 합쳤었습니다
엘리 수정/삭제 답글
도와주세요. 1단계 D는 볼륨삭제가 되는데, 2단계 C는 볼륨확대가 흐린글자로 떠서 누를수가 없네요.
어떻게 하지요?
답글: 알송달송IT세상 수정/삭제
c가 주파티션 및 디스크 상태가 '온라인' 되어 있다면 '볼륨확장' 정상 진행이 됩니다만, 님의 경우 댓글 가지고는 현상태 해결 해드리기가 어렵네요